『임원경제지』는 가정 관리의 이용후생학을 가장 수준 높게 집대성하였다. 그것은 문호개방 이전 동아시아 학술 분화의 마지막 단계를 이루었고, 중국․조선 학술의 精髓를 담았다. 그것은 백과사전의 지식 정보를 담은 학술연구서이자 학술교과서였다. 서유구는 『임원경제지』에서 개방적 자세, 문헌고증, 실험과 관찰 등 동아시아 전통에서 최고의 학문 방법론을 구사하여 근대적 방법론에 접속될 수 있었다. 그는 공자의 합리적 정신을 고양하여 근대적 인간관․사유원리․생활방식에 접근하는 모범을 제시하였다. 倪圭志를 집중 고찰하는데, 예규지를 관통하는 사유는 도덕과 공리의 조화적 추구, 그리고 경제합리성에 입각한 적극적 이익추구관과 상업중시관이었다. 『임원경제지』는 기술을 중시한 농․공․상업의 육성론을 모두 진전시킨 산업사의 중요한 업적이다. 서유구가 『임원경제지』에서 담은 동아시아 전통에서 최적화된 가정생활과 문화론은 근대에도 통할 수 있다. 그것은 ‘淸福’(wellbeing)을 추구한 이용후생학을 집대성하여 근대적 문화인의 삶을 지향하였다. 程朱學의 道學은 도덕 담론의 정점을 이루었다면, 근세 실학은 지식 담론의 발전을 도모하였고, 그 정점이 『임원경제지』였다.
근세 동아시아의 어류지식과 해양어업: ‘어보(魚譜)’에서 ‘어서(漁書)’로
서유구(徐有榘)의 『전어지(佃漁志)』는 어류지식으로써 ‘어보(魚譜)’와 어구어법으로써 ‘어서(漁書)’의 성격이 혼재한다. 또한 조선뿐만, 중국과 일본의 어류・어로지식도 종합했다. 이런 특성은 중국과 일본에서 볼 수 없는 것으로, 『전어지』는 새롭게 조명될 필요가 있다.
서유구의 학문세계와 학문자세, 그리고 실사구시-『임원경제지』 「본리지」를 중심으로-
서유구의 저술 중 『임원경제지』의 「본리지」를 대상으로 그의세계관이 투영된 학문세계를 實事求是에 입각한 학문자세로 설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는 농학에 대한 가학을 전승한 학문 경향과 유서(類書) 집필자로서 서유구의 학문관과 세계관에대한 분석성과와 다른 시도이다.
‘실사구시’에 입각한 서유구의 학문자세는 ‘실사’와 ‘구시’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논거는 『임원경제지』 예언(例言)에서 추출했다. ‘실사’는 곧‘인서(引書)’로서, 서유구는 문헌의 인용에 철저하여 전거를 밝히는 행위를강조했다. 그리고 ‘구시’는 그가 사환하거나 향거(鄕居)하는 과정에서 관찰하고 실험한 내용에서 획득한 지식을 암시한다고 분석했다.
도애 홍석모 문학 연구
그는 이계의 당색을 이어받아 소론계에 속하여 조선후기 소론계의 시단에서 활약하였다. 서유구의 문하에 드나들었으며 일군의 소론 인사로 구성된 賞心契와 菊社라는 詩社를 주도하였다. 그는 『도애시집』 21책과 『도애시문선 8책, 『간관록』, 『游燕藁』 등의 저서를 남겼다.
서유구의 『림원경제지』 「보양지」에 나타난 양생론 연구
서유구는 「보양지」에서 양생론을 펼치면서, 도교의 다양한 도인과 안마를 소개하고 있다. 서유구는 선비가 관직에서 물러나 향촌에서 생활할 경우나 궁벽하고 깊은 산골에 사는 일반 백성들의 질병 치료와 또는 예방의학으로서 양생술에 초점을 맞추어 「보양지」를 지었다.
…서유구의 「보양지」 찬술 의도에는 일반 백성들을 긍휼히 여기는 애민 사상이 전제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임원경제지』「정조지」의 음청류 연구
「정조지」 제5장 ‘음청지류(飮淸之類)’에서는 탕(湯) 18종 19가지, 장(漿) 7종 10가지, 차(茶) 16종 20가지, 갈수(渴水) 6종 6가지, 숙수(熟水) 6종 6가지 등 모두 53종 61가지의 음청류가 등장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조리서가 많지 않은 가운데 「정조지」는 조선시대 조리서로는 가장 많은 음청류가 수록되어 있는 문헌으로 오늘날 마실거리를 통칭하고 있는 ‘음청류’라는 용어도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조선시대 검은색의 염색법 재현 : 임원경제지의 포두청색·청조색·현색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서유구(1764-1845)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전공지(展功志) 연염(湅染)에서 포두청색(包頭靑色), 청조색(靑皁色), 현색(玄色)의 기록을 토대로 검은색 염색법과 색상을 재현하였다.
옥파 신필영의 「렬상기행절구」 연구
신필영이 교유했던 서유구(徐有榘)ㆍ홍석주(洪奭周)ㆍ홍길주(洪吉周)ㆍ정학연(丁學淵)ㆍ윤정현(尹定鉉)ㆍ김영작(金永爵)ㆍ박규수(朴珪壽)ㆍ홍우길(洪祐吉)ㆍ홍우건(洪祐健)ㆍ김상현(金尙鉉) 등은 대체로 18세기의 실학적 학풍을 계승하면서 문학적으로 서로 친밀하게 교유했던 진보적 성향의 지식인들이었다.
「열상기행절구」는 신필영이 1846년 8월(음력)에 한강의 동호(東湖)와 남한강(南漢江) 일대를 여행하면서 지은 7언 절구 100수의 연작 기행시이다. 신필영은 평소 국내 여행을 즐겨 다니면서 다양한 기행시를 남겼다. 그중 특히 「열상기행절구」는 그의 시세계의 특징을 총체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일 뿐만 아니라, 동시에 회고시(懷古詩), 산수경물시(山水景物詩), 회인시(懷人詩), 만시(輓詩), 도망시(悼亡詩), 기속시(紀俗詩), 농촌시(農村詩) 등 다채로운 양식의 시들을 집대성하고 있는 작품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양식별 특징에 의거하여 작품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신필영은 회고시와 산수경물시를 통해, 유하정(流霞亭), 남한산성(南漢山城), 춘초정(春草亭), 둔촌서원(遁村書院) 등 한강변 역사ㆍ문화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가 하면, 전고(典故)와 회화적 기법를 활용하여 팔당(巴堂), 남자주(藍子洲), 두릉(斗陵), 용문산(龍門山) 등지의 정경미(情景美)를 묘사해내었다.
다음으로 그는 회인시와 도망시를 통해, 작고한 홍길주, 김매순, 서유구, 신익성(申翊聖), 자신의 처 연일(延日) 정씨(鄭氏) 등 부재(不在)한 인물들을 추모하였다. 비창(悲愴)한 심정을 곳곳에서 토로하여 작품의 서정성을 강화하였으며, 성묘(省墓) 여정을 추가함으로써 한강 유람을 위주로 한 이 시의 내용을 좀 더 다채롭게 만들었다.
17·18세기 결부제의 폐단과 숙종조 황해도 방전법 시도
비록 방전법은 황해도 3개 읍에서 시험 시행되었을 뿐, 확대 시행되지 못하였으나, 봉건 해체기에 접어든 집권적 봉건 국가의 잔존한 봉건적인 지배를 일소하며 正經界·均賦均稅를 지향했던 개혁정책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경자양전의 타량 방식에도 영향을 미쳐, 보다 정확하게 토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방전법은 좌절 이후에도 탁월한 양전 방식으로 조정에서 거론되었고, 19세기 정약용·서유구·김윤식·유치범·유진억·이기 등의 방전론으로 이어져 광무양전 논의에 이르렀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인물 중심의 한국음악사 지도 방안 : 풍석 서유구를 중심으로
고악보「유예지」의 저자인 ‘서유구(1764~1845)’를 주목하였다. 조선 후기 음악의 모습은 악곡의 형성과 변화가 기록되어 있는 고악보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그가 남긴「유예지」는 조선후기 19세기 초 가곡, 영산회상 등의 정악의 발전 양상과 계면조의 변화 과정, 그 당시 풍류방에서 연주되었던 악기와 악곡의 모습을 담고 있어 조선 후기의 음악사에서도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한국음악사의 조선 후기의 음악의 모습을 담고 있는「유예지」의 저자 서유구를 중심으로 하여 조선 후기의 시대적 배경과 음악관을 연구하였으며, 이를 인물 학습 수업 모형에 적용하여 수업의 실제로 제시하였다.
서유구의 『임원경제지』에 나타난 건축 기술 연구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관료인 서유구가 편찬한 『임원경제지』를 대상으로 하여 그 속에 담긴 건축 기술의 내용과 그 기술이 형성될 수 있었던 배경을 분석하고, 이를 위해 저자가 어떻게 기술지식을 인식하고 습득하였으며, 그 지식이 무엇을 위해, 그리고 어떻게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서유구의 음악관 형성의 배경과 실천적 음악활동 연구
서유구의 음악관 형성의 배경과 실천적 음악활동 연구
응지진농서 1
저자 농촌진흥청|진한엠앤비 |2014.04.28
페이지 618|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84326330|판형 규격외 변형
토지의 모든 것
저자 문홍열|경남 |2009.04.10
페이지 256|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76755544|판형 A5, 148*210mm
더 편한 세상을 꿈꾼 겨레과학
글 장수하늘소, 김영숙|그림 정재훈|푸른나무 |2007.09.17
페이지 157|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74144616|판형 B5, 188*257mm
열수와 마현
저자 윤종일, 임병규|경인문화사 |2010.03.15
페이지 189|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49907000|판형 B5, 188*257mm
명설과 자설
저자 신용호|전통문화연구회 |2014.02.20
페이지 210|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91720916|판형 규격외 변형
정유각집 [하]
저자 박제가|역자 정민, 이승수, 박수밀|돌베개 |2010.02.22
페이지 700|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71993781|판형 A5, 148*210mm
우리 고전을 찾아서
저자 임형택|한길사 |2007.10.20
페이지 748|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35658527|판형 A5, 148*210mm
저잣거리에서 세상을 배우다
저자 조희정, 주진택, 김대경 외 |우리학교 |2011.03.18
페이지 232|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94103174|판형 A5, 148*210mm
식민지 조선의 근대농법과 재래농법 환경과 기술의 역사인류학
저자 안승택|신구문화사 |2009.08.25
페이지 458|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76681638|판형 A5, 148*210mm
단원 풍속도첩
저자 안대회|민음사 |2005.10.15
페이지 118|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37425516|판형 규격외 변형
우리 인물, 세계와 통하다
저자 KBS역사스페셜 제작팀|가디언 |2011.06.27
페이지 311|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96649311|판형 A5, 148*210mm
책, 조선 사람의 내면을 읽다- 책이 읽은 사람, 사람이 읽은 책 [ 개정판 ]
설흔 저 | 위즈덤하우스 | 2016년 12월 30일
개정판
내면기행
저자 심경호|이가서 |2009.10.01
페이지 612|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58642718
실학파의 산문과 비평 서유구의 청년기 저작에 대한 비평의 실제
저자 강민구|보고사 |2013.08.26
페이지 297|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91155160909|판형 규격외 변형
19세기 20세기초 여성생활사 자료집 (1-9권)
저자 김기림|보고사 |2013.06.28
페이지 534|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91155160299|판형 규격외 변형
구황방 고문헌집성 4
저자 농촌진흥청|휴먼컬처아리랑 |2015.08.30
페이지 220|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91155656778|판형 규격외 변형
응지진농서 2
저자 농촌진흥청|진한엠앤비 |2014.04.28
페이지 618|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84326347|판형 규격외 변형
조선명인전 3
저자 이은직|역자 정홍준|일빛 |2005.08.12
원제 朝鮮名人傳
페이지 422|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56450889|판형 A5, 148*210mm
조선시대 지피식물에 관한 연구 – 옛 그림 및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김미옥 x,192p. : 삽도(일부채색) ; 26cm.
학위논문 박사-상명대학교 대학원 : 환경자원학과 환경조경전공 2010.2
화각공예품 개발에 관한 연구 – 시문 문양을 중심으로
김미경 71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대학원, 산업미술학, 1988.8
홍화 염색에 관한 연구
박주연 vi, 51장 : 챠트 ; 22 cm.
학위논문 석사- 신라대학교 대학원 : 의류학과 2011. 8
해외에 조성된 한국정원의 구성요소 연구
황민하 xvi, 202장: 삽도; 26cm.
학위논문 박사-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2014. 8
한국적 특성에 맞는 생태마을의 계획요소 연구
박승남 v, 111 p.; 26 cm.
학위논문 석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건축학과 2011. 8
한국 전통 염료의 과학적 분석연구
최석찬 ⅶ, 76 p. ; 26cm
학위논문 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과학문화(협동) 유물과학 2007. 8
한국 전통 남염색에 관한 연구
조영미 viii, 122p. : 삽도, 도판 ; 27cm.
학위논문 석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정교육전공 1995
한국 유칠(油漆)의 전통기법과 재현연구
박지혜 v, 86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문화재과학과 문화재보존학 전공 2010. 2
풍수지리이론에 의한 전원주택지 선정
한복우 ⅸ, 135장 : 삽도 ; 27 cm
학위논문 석사- 동의대학교 행정대학원, 부동산학, 2007.8
풍수원리와 건강 주거입지 연구
정택동 xii, 189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풍수지리학, 2006.2
친환경 전통미장재료로서 사벽의 실용화를 위한 기초적 물성 평가
료호개 viii, 64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동명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2017.8. 지도교수: 임남기
천연 쪽에 함유된 인디루빈이 견직물 염색에 미치는 영향
유완송 xxvi, 257 p. ; 30 cm
학위논문 박사 – 인천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2017
지형의 변화원리와 현상에 대한 풍수지리학적 연구 – 자연지리학과 풍수지리학의 해석상 유사성을 중심으로
장정환 [326]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 동국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자연지리전공, 2013
조선후기 풍수 노반척 적용 조영계획 – 연경당, 낙선재, 운현궁, 선병국 가옥을 중심으로
강옥희 xiii, 176 p. ; 30 cm
학위논문 석사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건축계획, 2007.8
조선후기 실학자의 의학문헌 연구
박상영 ii, 172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2016.8. 지도교수: 정우봉
조선후기 식기 및 음식의 특색과 변화
이은욱 v, 180p. : 삽도 ; 26cm
학위논문 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 2003.2
조선후기 미불·동기창 서예의 수용에 관한 연구
서승례 ii, 112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대전대학교 대학원, 서예학, 2004.
조선후기 문인의 서화인식과 비평의식 연구 : 서유구·성해응·남공철을 중심으로
진리바 iv, 228 p. ; 30 cm
학위논문 박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유학과 동양미학전공, 2016.
조선후기 농서에 나타난 차의 특성
이강석 vi, 65 p. ; 30 cm
학위논문 석사 –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생활예절ㆍ다도, 2010.
조선조 농서의 서지학적 연구
노기춘 100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 1995
조선시대 후기 백자의 연구
방병선 365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 1998
조선시대 추나의학사 연구
임진강 29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의사학(한의역사학), 2008.2
조선 후기 한양의 원림에 관한 연구 : 경화사족의 원림기와 원림도를 중심으로
정봉구 v, 112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축환경공학, 2009
조선 중기 종묘악장에 대한 사적 고찰
김영주 vi, 119 p. ; 30 cm
학위논문 석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국악학, 2010.
전통경관의 조영 원리에 대한 생태학적 해석
소현수 xi, 300 p : 삽도 ; 26cm.
학위논문 박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조경학과 2008. 2
임원경제지의 생기 관점에서 본 양동마을 주거 연구
박동필 110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 2002.2
임원경제지에 나타난 전통식물의 재해석
박경자 56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세명대학교 대학원 : 의약생명과학과 2016. 2
임원경제지 정조지의 음청류 연구
권정순 iii, v, 268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원광대학교 대학원, 한국문화학과, 2018.2. 지도교수: 정순일
원통을 응용한 도자화병개발에 관한 연구 – 율동표현을 중심으로
명재현 58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 檀國大學校 大學院, 도예학, 1992.2
약용식물을 이용한 오방색의 한지염색에 관한 연구
최석진 v, 74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중부대학교 대학원, 한약자원학, 2009
서유구의 임원경제지 보양지에 나타난 양생론 연구
김흥룡 iii, ii, 237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원광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 기학전공, 2017
도자기 수리복원 사례 연구
양필승 xi, 154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공주대학교 대학원, 문화재보존과학과 문화재보존과학전공, 2014
학산 서호수의 『열하기유』 연구
현진환 130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2013.2. 지도교수: 송혁기
초정 박제가 기예론 연구
이영화 vi, 191 p. ; 30 cm
학위논문 석사-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 유교경전.예학전공 2011. 8
주역참동계 연구
임명진 417 p. ; 26cm
학위논문 박사- 대전대학교 대학원 : 한의학과 2010. 2
주역의 호체론에 대한 연구
최인영 vi, 206 p. : 표 ; 26cm
학위논문 박사- 공주대학교 대학원 : 한문교육학과 2018. 2
조선후기 지방교육 연구
이성심 viii, 176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교육철학및교육사전공, 2017
조선후기 우주론과 국사교과서의 서술
이은택 ii, 53 p. ; 30 cm
학위논문 석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 2005.8
조선후기 왕의 권위와 권력의 관계 -황극개념의 해석을 중심으로
소진형 vi, 197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2016.2.
조선후기 소론계 문인의 문학론 연구
김영주 ii, 296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 경북대학교 대학원, 한문학, 2006.2
조선전기 사대부 금악(琴樂) 연구
윤영해 vi, 173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음악학과 한국음악학전공, 2015.2
조선시대 음양과에 관한 연구
이수동 iv, iii, 237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 원광대학교 대학원, 한국문화학과, 2013.2. 지도교수: 양은용
이덕무 산문비평 연구 – 종북소선, 풍석고협집 소재 비평을 중심으로
김경 78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한문교육, 2010.2. 지도교수: 송혁기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 연구
김채식 216 p. ; 26cm
학위논문 박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국한문학, 2009.2. 지도교수: 진재교
耳溪 洪良浩의 牧民思想 : 그의 牧民大方을 中心으로
김영주 80p. ; 26 cm
학위논문 석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2.2
옥파 신필영의 『열상기행절구』 연구
표가령 ii, 180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국문학전공, 2018.2
서명응의 선천학 체계와 서학 해석에 관한 연구
이봉호 188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국철학, 2005.8
서명응의 『도덕지귀』 연구
방형보 ii, 120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동양철학, 2006.8
서명응의 노자사상에 관한 연구 – 『도덕지귀』에 나타난 도와 덕을 중심으로
김윤경 ii, 93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국철학, 2004.2
서명응의 『선천사연』에 관한 연구
조희영 xii, 315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 숭실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2012
명고 서형수의 『시고변』 연구
윤선영 91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2011
도애 홍석모 문학 연구
이관성 x, 210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원광대학교 대학원, 한문고전학과, 2017
금강산 관련 문학작품에 나타난 유가적 사유 연구
양승이 ii, 324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2012.2
귤산 이유원의 다사 연구 – 「임하필기」와 「가오고략」을 중심으로
이윤경 v, 125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화산업학과 예절다도학전공, 2012.2. 지도교수: 주영애
갑진신편 규장각지 연구 – 도서관적 기능과 사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안광래
학위논문 석사- 청주대학교 대학원 도서관학과, 1985
19세기 전반 연행록의 특성과 조·청 문화 교류의 양상
임영길 v, 226 p. ; 30 cm
학위논문 박사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아시아학과 한문학전공, 2018.2. 지도교수: 김영진
18세기 관각문학 연구 – 이의현, 이덕수, 서명응을 중심으로
신복호 ii, 240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2004.2
18-19세기의 백두산 기행로 및 기행 양식
김민정 vi, 91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리교육, 2006.8
『삼재도회』와 조선후기 회화
최정임 124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 홍익대학교 대학원, 한국미술사, 2003.8
《열하긔》의 국어학적 연구
정창헌 71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2003.8
풍석 서유구의 농업관과 농업경영론
권민준 i, 32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2012.8. 지도교수: 윤용출
풍석 서유구에 대한 한 연구: ‘임원경제’와 『번계시고』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조창록, 163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국한문학, 2003
조선시대 서유구의 자연관 및 정원조영 연구 : 『임원경제지』의 「이운지」와 「상택지」를 중심으로
김규섭 ix, 171 p. ; 26 cm
학위논문 박사-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자원학과 환경조경전공, 2013
서유구의 서화감상학 연구 – 『화전』과 『예완감상』을 중심으로
김효진 iv, 76 p. ; 26 cm
학위논문 석사-조선대학교 대학원, 미학-미술사학, 2006.2
서유구의 복식관 : 「섬용지」 ‘복식지구’의 분석을 중심으로
차서연, vii, 161 p. ; 30 cm
학위논문 석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통의상학, 2011
서유구의 『완영일록』과 검안처리 업무
이혜령 45, [21]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전주대학교 대학원, 사학, 2011.2.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