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제도

중국의......외실 (外室) 이다:중국의 전통 주택은 주 건물이 종축선 상에 차례로 배열되고, 좌우를 건물 로 막아 그 사이에 마당을 만든다. 이렇게 마당을 중심으로 건물들이 둘러싸며 배치되기 때문에 사합 원 (四合院) 이라 하는데, 마당의 개수에 따라 1 진원 (一進院) , 2 진원 (二進院) 등으로 부른다. 본문에서는 4 개의 건물을, 제일 깊숙한 곳에서부터 밖으로 나오며 묘사하고 있다. 따라서 평균적인 3 진원 또는 4 진원 규모에 해당된다고 하겠다. 중국 북경 지역의 사합원(3진원)의 모습
중국의......외실 (外室) 이다:중국의 전통 주택은 주 건물이 종축선 상에 차례로 배열되고, 좌우를 건물 로 막아 그 사이에 마당을 만든다. 이렇게 마당을 중심으로 건물들이 둘러싸며 배치되기 때문에 사합 원 (四合院) 이라 하는데, 마당의 개수에 따라 1 진원 (一進院) , 2 진원 (二進院) 등으로 부른다. 본문에서는 4 개의 건물을, 제일 깊숙한 곳에서부터 밖으로 나오며 묘사하고 있다. 따라서 평균적인 3 진원 또는 4 진원 규모에 해당된다고 하겠다. 중국 북경 지역의 사합원(3진원)의 모습
1. 몸채와 곁채의 배치 1) 중국의 제도 중국의 건물 제도는 모두 ‘일 (一) ’자 형태여서 구부러져 꺾이거나 건물끼리 딱 붙어 있지 않다. 건물 안쪽을 기준으로 첫 번째 건물이 내실 (內 室) 이고, 두 번째 건물이 중당 (中堂) , 세 번째 건 물이 전당 (前堂) , 네 번째 건물이 외실 (外室) 이 다. 1 이 몸채마다 앞에 좌우의 ‘곁채’가 있는데, 1 중국의......외실 (外室) 이다:중국의 전통 주택은 주 건물이 종축선 상에 차례로 배열되고, 좌우를 건물 로 막아 그 사이에 마당을 만든다. 이렇게 마당을 중심으로 건물들이 둘러싸며 배치되기 때문에 사합 원 (四合院) 이라 하는데, 마당의 개수에 따라 1 진원 (一進院) , 2 진원 (二進院) 등으로 부른다. 본문에서는 4 개의 건물을, 제일 깊숙한 곳에서부터 밖으로 나오며 묘사하고 있다. 따라서 평균적인 3 진원 또는 4 진원 규모에 해당된다고 하겠다. 중국 북경 지역의 사합원(3진원)의 모습
중국의 건물 제도는 모두 ‘일
(一)
’자 형태여서
구부러져 꺾이거나 건물끼리 딱 붙어 있지 않다.
건물 안쪽을 기준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