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유상, 안진희, 김종현, 김도훈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34 No.2 169-206(38쪽) 2021
Tag Archives: 2021
「정조지」와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의 식문화적 연관성 및 조리법 비교
유미영 정희선
국립민속박물관 민속학연구 Vol.- No.49 249-312(64쪽) 2021
『이운지(怡雲志)』 「절신상락(節辰賞樂)」에 관한 소고(小考)
심명주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한국문화연구 Vol.41 No._ 39-69(31쪽) 2021
『임원경제지』와 『규합총서』에 나타난 병이(餠餌)류에 대한 고찰
탁준영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한국예다학 Vol.10 No.- 7-42(36쪽) 2021
고문헌을 통해 본 조선시대 자석연(紫石硯)의 산지와 종류에 관한 고찰
최병규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대동문화연구 Vol.114 No.- 319-353(35쪽) 2021
고전 국역과 저작권 문제 ― 임원경제지 판결을 중심으로 ―
남형두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법학연구 Vol.31 No.3 211-264(54쪽) 2021
임원경제지 예규지의 경제사상과 경제정보 – 상업론을 종심으로
이헌창
경제사학회 Vol.45 No.3 375-443(69쪽) 2021
고문헌 기반 한국 전통죽의 영양학적 가치 재평가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를 중심으로-
김순연, 김송희, 김애정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9 163-172(11쪽) 2021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 기록된 차(茶) 고찰 -순차 및 차혼성차를 중심으로-
최배영
국제차문화학회 차문화ㆍ산업학 Vol.51 No.- 135-158(24쪽) [2021]
침법(枕法)에 관한 문헌기록과 대전시립박물관소장 향침(香枕)의 제작기법
하수민,
민속학연구 Vol.- No.49 313-341(29쪽) 2021
정농(精農)을 위한 농술(農術): 토양, 풍토, 농시를 중심으로 본 서유구의 농업 기술론
오승현
한국과학사학회 Vol.43 No.3 715-759(45쪽) 2021
The Fantasy Garden in East Asian Tradition: A Case Study of a Garden Record in Seo Yugu’s Treatises on Rural Living
Hui Zou , 서명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34 No.1 , 195-222(28쪽), 2021
대구 달성의 입지와 풍수지리 특성에 관한 연구
조호원, 235p. ; 26 cm
학위논문(석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 환경설계학과 2021. 8
「정조지」와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의 식문화적 가치 연구
유미영, 91 ; 26 cm
학위논문(석사)–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 전통예술학과 전통식생활문화전공 2021. 8
동아시아 붓의 제작 기법 변화와 전승양상
박창선, xvi, 340 p. : 삽화 ; 26 cm
학위논문(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문화유산학협동과정 2021. 8
한국전통 장(醬) 제조기술 변천에 관한 문헌적 고찰
김용문, x, 154 장. : 삽화 ; 26 cm
학위논문(박사)–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식품공학과 2021. 8
서유구의 음악관 형성의 배경과 실천적 음악활동 연구
서유구의 음악관 형성의 배경과 실천적 음악활동 연구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