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지진농서 2

 책소개 

일찍이 조선시대에 농업개혁을 단행했던 정조대왕의 말씀에 따라 영농체험자들이 영농현장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상소문으로 올린『응지진농서』을 국역 발간하였다. 『응지진농서』는 정조대왕 즉위 22년(1798년), 새로운 농법이나 농업정책을 정비하여 종합농서인『농가지대전(農家之大全)』을 편찬하고자 이와 관련한 의견을 올리라는 정조대왕의 말씀을 널리 알렸는데, 이에 응답하고자 전국의 농업지식인들이 올린 글이 바로 『응지진농서(應旨進農書)』이다. 즉 ‘왕의 농서를 구한다는 윤음에 따라 이에 응한 농서’라는 뜻이다. 이번에 발간한 국역본에는 강순을 비롯하여 서유구, 정약용 등의 상소문이 번역되어 원문과 함께 수록되어있다. 「응지진농서」는 당시의 새로운 농업기술뿐만 아니라 농정과 농촌사회의 새로운 기강확립 등 그 시대의 여러 문제들이 기록되어있다.

목차

사도팔도(四都八道)
충의위(忠義衛) 배의(裵宜)
홍주(洪州)의 유학(幼學) 신재형(申在亨)
전(前) 동지(同知) 김천숙(金天肅)
대구(大邱)의 유학(幼學) 유동범(柳東範)
부호군(副護軍) 복태지(卜台鎭)
영암(靈巖)의 유학(幼學) 정시원(鄭始元)
전(前) 감찰(監察) 이우형(李宇炯)
수위관(守衛官) 윤보(尹溥)
전(前) 영(令) 염덕우(廉德隅)
수위관(守衛官) 유종섭(劉宗燮)
전(前) 지평(持平) 윤재양(尹在陽)
전(前) 찰방(察訪) 강효신(康堯愼)
전(前) 충의위(忠義衛) 장지한(張志瀚)
전(前) 순릉(純陵)의 참봉(參奉) 이상희(李尙熙)
부사용(副司勇) 이인영(李仁榮)
전(前) 군수(郡守) 윤홍심(尹弘心)
호남(湖南) 유생(儒生) 정시원(鄭始元)
신계(新溪) 생원(生員) 정석유(鄭錫猷)
순장(巡將) 정도성(鄭道星)
남원(南原)의 유학(幼學) 장윤(張윤)
남원(南原)의 유학(幼學) 허호(許顥)
남원(南原)의 유학(儒學) 허질(許질
전라도사(全羅道事) 김하련(金夏璉)
공주(公州)의 생원(生員) 유진목(柳鎭穆)
공주(公州) 유학(幼學) 임박유(林博儒)
영월부사(寧越府使) 이경오(李敬五)
삼가(三嘉)의 유학(幼學) 정응삼(鄭應參)
언양(彦陽)의 유학(幼學) 전만(全萬)
후릉(厚陵)의 영(令) 김응린(金應麟)
양주(楊州)의 유생(儒生) 안성탁(安聖鐸)
북부(北部) 서민(庶民) 이필충(李必忠)
홍천(洪川) 유생(儒生) 이광한(李光漢)
고성(高城) 유생(儒生) 권현(權炫)
흡곡(흡谷) 유생(儒生) 조지영(趙之榮)
흡곡(흡谷) 유생(儒生) 정치일(鄭致一)
흡곡(흡谷) 유생(儒生) 표헌정(表憲正)
고성(高城) 유생(儒生) 노재황(盧再煌)
전(前) 동지(同知) 김양직(金養直)
전(前) 첨지(僉知) 최세택(崔世澤)
상주(尙州) 유학(幼學) 이제화(李齋華)
전라도사(全羅都事) 김하련(金夏璉)
양주(楊州) 유학(幼學) 안성탁(安聖鐸)
보은(報恩) 유생(幼學) 이동응(李東膺)
덕산(德山) 유학(幼學) 이의숙(李宜璹)
상주(尙州)의 유학(幼學) 이제화(李齋華)
수원(水原)의 절충장군(折衝將軍) 원재하(元在夏)
전(前) 첨지(僉知) 최세택(崔世澤)
정산(定山)의 유학(幼學) 김훈(金勳)
홍천(洪川)의 유생(儒生) 이광한(李光漢)
언양(彦陽) 유생(儒生) 전만(全萬)
순안(順安) 진사(進士) 김치대(金致大)
양주(楊洲) 유학(幼學) 안성탁(安聖鐸)
유학(幼學) 이만록(李晩祿)
교하(交河) 유학(幼學) 이문철(李文哲)
나주(羅州) 유학(幼學) 나민휘(羅敏徽)
나주(羅州) 유학(幼學) 나학신(羅學愼)
순창(淳昌) 유학(幼學) 신보권(申輔權)
영광(靈光) 진사(進士) 이대규(李大圭)
전주(全州) 유학(幼學) 김상직(金尙直)
전주(全州) 유학(幼學) 이여효(李汝孝)
전주(全州) 유학(幼學) 송상휘(宋相彙)
전주(全州) 유학 이장렬(李章烈)
진안(鎭安) 유학 박종혁(朴宗赫)
고부(古阜) 유학(幼學) 박도흠(朴道欽)
능주(綾州) 진사(進士) 남익(南익)
광주(光州) 진사(進士) 이창우(李昌우)
광주(光州) 유학(幼學) 박문찬(朴文燦)
광주(光州) 유학(幼學) 정윤국(鄭潤國)
무장(茂長) 유학(幼學) 강석운(姜錫運)
무장(茂長) 유학(幼學) 강순(姜洵)
남원(南原) 전(前) 현감(縣監) 장현경(張顯慶)
남원(南原) 유학(幼學) 노익원(盧翼遠)
장련(長連) 진사(進士) 박재설(朴載卨)
해주(海州) 유학(幼學) 김호(金澔)
해주(海州) 유학(幼學) 이훈(李薰)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Posted in 도서자료, 참고자료 and tagged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