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편한 세상을 꿈꾼 겨레과학

책소개

성리학이 깊이 뿌리내린 조선시대에 나라 밖의 문물에 관심을 가지고 그것이 백성들의 삶에 이로운 것이라 판단하면 적극적으로 들여올 것을 내세웠으며, 나아가 그것 못지않은 발명품의 개발에도 힘을 쏟았던 실학자들을 소개한다.

수원 화성을 짓는데 거중기를 사용한 정약용, 실학자 이규경이 지은 조선시대의 백과사전인 <오주연문장전산고&rt;, 지전설을 주장한 홍대용, 과학적인 지도 도법을 탄생시킨 김정호 등 좀 더 편리한 세상에서 사는 길을 찾아 나섰던 이들의 사상과 업적, 실용적 과학 정신을 살펴본다.

딱딱한 문어체 대신 친근감 있는 구어체를 사용하여 이야기를 들려주듯 과학 개념과 역사 지식을 함께 전달한다. 한편 풍부한 그림과 정확한 사진 자료를 수록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돕는다.

저자소개

장수하늘소장수하늘소 기획
장수하늘소는 좋은 어린이 책을 기획하고 글을 쓰는 작가들의 모임입니다. 좋은 어린이 책은 어린이 스스로 문제를 풀어 갈 수 있는 힘과 지혜를 길러 준다는 믿음으로 함께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펴낸 책으로는 『초등학생이 가장 궁금해 하는 과학 이야기 30』 시리즈, 『초등학생이 처음 만나는 세상 이야기』 시리즈, 『인류 100대 과학사건』(전5권), 『어린이 미래 과학서 – 첨단과학』 시리즈 등이 있습니다.

김영숙 글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석사 과정을 마치고,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박물관 학예 연구사와 경기도박물관 학예 연구원으로 재직했습니다. 석사 논문『에코뮤지엄 개념도입을 통한 박물관의 새로운 발전 가능성 연구』는 한국예술경영학회 우수 석사 논문에 선정된 바 있습니다.
현재는 어린이 책을 기획하고 집필하는 작가로 활동 중입니다.
지금까지 『앉아서 지구의 크기를 재다』, 『미래의 눈으로 다시 읽는 과학신문』, 『지식은 힘-우주』, 『세계를 놀라게 한 겨레과학』 등을 썼고, 이 중 『세계를 놀라게 한 겨레과학』은 2007년 과학기술부-한국과학문화재단 인증 우수과학도서에 선정되었습니다.

정재훈 그림
홍익대학교 독어독문학과에서 공부하고 한겨레문화센터 출판만화과정을 수료한 후 월간『말』에 시사만화를 연재했습니다. 현재 ‘우리만화연대’와 ‘노동만화네트워크 들꽃’의 회원으로 활동하며 어린이 책의 그림 작업도 함께 하고 있습니다.

목차

머리말
1. 혼천시계, 천체의 움직임과 시간을 동시에
2. 백자, 조선의 과학과 문화를 담은 그릇
3. 수원 화성, 조선의 기술력이 낳은 신도시
4. 휴대용, 지전설을 주장하다
5. 서호수, 조선의 천문학과 역법을 개혁하다
6. 서유구, 실용적인 백과사전 『임원경제지』를 펴내다
7. 정약전, 어류 연구의 선구자
8. 최한기, 서양의 과학 문명을 소개하다
9. 김정호, 근대적 지도 『대동여지도』를 탄생시키다
10. 이규경, 백과사전 『옹주연문장전산고』를 펴내다
11. 이제마, 사상의학을 탄생시키다
12. 최석정과 홍정하, 조선에도 수학이 있다
13. 구택규·구윤명 부자, 조선 과학 수사의 기틀을 마련하다
14. 하백원, 자동 양수기를 발명하다
15. 이헌길, 민중들과 함께한 명의
더 편한 세상을 위한 학문, 실학(實學)
찾아보기

Posted in 도서자료, 참고자료 and tagged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