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유구는 「보양지」에서 양생론을 펼치면서, 도교의 다양한 도인과 안마를 소개하고 있다. 서유구는 선비가 관직에서 물러나 향촌에서 생활할 경우나 궁벽하고 깊은 산골에 사는 일반 백성들의 질병 치료와 또는 예방의학으로서 양생술에 초점을 맞추어 「보양지」를 지었다.
…서유구의 「보양지」 찬술 의도에는 일반 백성들을 긍휼히 여기는 애민 사상이 전제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Tag Archives: 보양지
조선시대 추나의학사 연구
임진강 29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의사학(한의역사학), 2008.2
서유구의 임원경제지 보양지에 나타난 양생론 연구
김흥룡 iii, ii, 237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원광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 기학전공, 2017
조선시대 추나의학사 연구
임진강, 29 p. ; 26cm
지도교수:김남일, 유원준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 한의역사학 의사학 2008. 2
서유구의 림원경제지 보양지에 나타난 양생론 연구
김흥룡 p256 ; 26 cm
지도교수: 김도공
학위논문(박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 불교학과 기학전공 2017.8
풍석의-섭생강신론
김유혁
2016 풍석학술대회, 기조강연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