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2000년 문화관광부 선정 우수학술도서**********
조선후기 백자에 대한 연구문. 여러 가지 사료와 각종 문헌기록을 통해 조선후기 백자를 재조명하면서 당대 도자관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식민지사관에 입각한 조선백자 후진론의 오류를 지적했다.
저자소개
저자 : 방병선
저자 방병선은 1960년 서울 출생. 1979년 서울 배재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와 대학원에서 기계설계학(공학석사)를 전공하였다.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박사 과정에서 한국미술사를 전공하여 1998년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혀재 고려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공저로 『우리 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토기·청자』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조선시대 후기 백자의 연구」, 「조선후기 백자의 제작기술 연구」, 「운룡문 분석을 통해서 본 조선후기 백자의 편년체제」 등 다수가 있다.
목차
001. [서론]….(11)
002. [조선후기 관요의 운영]
003. 1기 – 분원제도의 정비….(24)
004. 2기 – 분원제도의 완성….(83)
005. 3기 – 분원제도의 변화….(120)
006. 조선후기 관요 운영의 특징….(161)
007. [조선후기 도자관]
008. 이하곤….(166)
009. 영·정조와 북학파….(168)
010. 서유구와 이규경….(185)
011. 조선후기 도자관의 특징….(202)
012. [조선후기 백자의 제작 기술]
013. 태토….(207)
014. 유약….(218)
015. 안료….(223)
016. 가마와 번조 기술….(231)
017. 성형 및 장식기법….(237)
018. 조선후기 백자 제작 기술의 특성….(246)
019. [양식의 특성과 변천]
020. 1기….(252)
021. 2기….(275)
022. 3기….(325)
023. 조선후기 백자의 양식 변천….(356)
024. [편년 문제]
025. 기존의 견해….(371)
026. 시기 구분…(380)
027. [결론]….(387)
028. 도 판….(401)
029. 참고 문헌….(465)
030. 도판 목록….(476)
031. 찾아 보기….(484)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