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넷윤선리
동서인문학 vol., no.62, pp. 153-191 (39 pages) 2022
Tag Archives: 학술논문
빙허각 이씨의 고증학적 태도와 유서 저술 – 『청규박물지』「화목부」를 대상으로 –
박영민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no.36, pp. 3-41 (39 pages) 2018
규합총서(閨閤叢書)의 십미요(十味謠) 이미지 연구
방기정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vol.8, no.7, 통권 45호 pp. 719-728 (10 pages), 2018
전통색명의 한글화에 관한 연구 -규합총서의 오정색, 십간색 색채어를 중심으로-
정성환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5, no.3, 통권 43호 pp. 171-184 (14 pages)
규합총서와 성호사설의 전통색 색명 비교연구 – 상극간색과 상생간색을 중심으로 –
정성환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5, no.2, 통권 42호 pp. 261-272 (12 pages) 2017
19세기 『규합총서』의 탄생과 가정 살림의 지식화
정해은
지역과 역사 Vol.- No.45 185-217(33쪽) [2019]
고(古)조리서로 본 여성의 살림정신 – 『음식디미방』과 『규합총서(閨閤叢書)』를 중심으로 –
이난수
효학연구 vol., no.25, pp. 25-56 (32 pages) 2017
부뚜막 신에 대한 재고 『규합총서』를 통해 본 조선 지식인의 조왕 인식
자넷윤선리
한국학논집 vol., no.79, pp. 61-92 (32 pages) 2020
조선 후기 여성 문집의 유가경전 인용 방식에 대한 여성철학적 고찰 = 이사주당의 『태교신기(胎敎新記)』와 이빙허각의 『규합총서(閨閤叢書)』를 중심으로
김세서리아
한국여성철학 Vol.30 No._ 39-124(32쪽) 2018
근대 요리책의 계통과 지식 전승 -출판인쇄본 부인필지, 조선요리제법,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을 중심으로-
라연재
민속학연구 Vol.0 No.42 47-73(27쪽) 2018
조선시대(朝鮮時代) 주요 조리서(調理書)와 『동의보감(東醫寶鑑)』의 약주(藥酒)에 대한 비교 고찰
백유상, 안진희, 김종현, 김도훈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34 No.2 169-206(38쪽) 2021
서유구(徐有榘)의 향촌 주거환경 조성에 관한 구상
심명주
한국조경학회지 Vol.50 No.2 127-137(11쪽) 2022
『林園經濟志』와 조선(朝鮮) 양생(養生)의 지향(志向)에 대한 연구(硏究) – 몸-자연-사회의 연계를 중심으로 –
전종욱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35 No.2 77-98(22쪽) 2022
『林園經濟志』 어류지식의 한의학적 고찰 – 『東醫寶鑑』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전종욱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35 No.3 71-90(20쪽) 2022
19세기 조선 의약 생활의 풍경과 ‘약로’_ 신대우 가계 기록물과 서유구 이규경의 저술을 중심으로
전종욱
한국의사획회지 Vol.35 No.1 135-147(13쪽) 2022
조선 후기 읍성의 인구 구성과 상업 집적 특성
김승정, 박인권
도시사학회 도시연구(역사·사회·문화) Vol._ No.30 121-163(33쪽) 2022
전통의료 용어변천 연구 – 俗方에서 민간요법으로 –
김영완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논총 Vol.58 No. 173-197(25쪽) 2022
「정조지」와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의 식문화적 연관성 및 조리법 비교
유미영 정희선
국립민속박물관 민속학연구 Vol.- No.49 249-312(64쪽) 2021
『이운지(怡雲志)』 「절신상락(節辰賞樂)」에 관한 소고(小考)
심명주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한국문화연구 Vol.41 No._ 39-69(31쪽) 2021
『임원경제지』와 『규합총서』에 나타난 병이(餠餌)류에 대한 고찰
탁준영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한국예다학 Vol.10 No.- 7-42(36쪽) 2021
고문헌을 통해 본 조선시대 자석연(紫石硯)의 산지와 종류에 관한 고찰
최병규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대동문화연구 Vol.114 No.- 319-353(35쪽) 2021
고전 국역과 저작권 문제 ― 임원경제지 판결을 중심으로 ―
남형두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법학연구 Vol.31 No.3 211-264(54쪽) 2021
임원경제지 예규지의 경제사상과 경제정보 – 상업론을 종심으로
이헌창
경제사학회 Vol.45 No.3 375-443(69쪽) 2021
고문헌 기반 한국 전통죽의 영양학적 가치 재평가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를 중심으로-
김순연, 김송희, 김애정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9 163-172(11쪽) 2021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 기록된 차(茶) 고찰 -순차 및 차혼성차를 중심으로-
최배영
국제차문화학회 차문화ㆍ산업학 Vol.51 No.- 135-158(24쪽) [2021]
침법(枕法)에 관한 문헌기록과 대전시립박물관소장 향침(香枕)의 제작기법
하수민,
민속학연구 Vol.- No.49 313-341(29쪽) 2021
정농(精農)을 위한 농술(農術): 토양, 풍토, 농시를 중심으로 본 서유구의 농업 기술론
오승현
한국과학사학회 Vol.43 No.3 715-759(45쪽) 2021
The Fantasy Garden in East Asian Tradition: A Case Study of a Garden Record in Seo Yugu’s Treatises on Rural Living
Hui Zou , 서명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34 No.1 , 195-222(28쪽), 2021
근세 동아시아의 어류지식과 해양어업: ‘어보(魚譜)’에서 ‘어서(漁書)’로
김문기
역사와경계 vol., no.114, pp. 87-158 (72 pages) 2022
서유구(徐有榘)의 『전어지(佃漁志)』는 어류지식으로써 ‘어보(魚譜)’와 어구어법으로써 ‘어서(漁書)’의 성격이 혼재한다. 또한 조선뿐만, 중국과 일본의 어류・어로지식도 종합했다. 이런 특성은 중국과 일본에서 볼 수 없는 것으로, 『전어지』는 새롭게 조명될 필요가 있다.
서유구의 학문세계와 학문자세, 그리고 실사구시-『임원경제지』 「본리지」를 중심으로-
정수환
한국사학사학보 제41호 41-74(34쪽) 2020
서유구의 저술 중 『임원경제지』의 「본리지」를 대상으로 그의 세계관이 투영된 학문세계를 實事求是에 입각한 학문자세로 설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는 농학에 대한 가학을 전승한 학문 경향과 유서(類書) 집필자로서 서유구의 학문관과 세계관에대한 분석성과와 다른 시도이다.
‘실사구시’에 입각한 서유구의 학문자세는 ‘실사’와 ‘구시’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논거는 『임원경제지』 예언(例言)에서 추출했다. ‘실사’는 곧‘인서(引書)’로서, 서유구는 문헌의 인용에 철저하여 전거를 밝히는 행위를강조했다. 그리고 ‘구시’는 그가 사환하거나 향거(鄕居)하는 과정에서 관찰하고 실험한 내용에서 획득한 지식을 암시한다고 분석했다.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