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지혜 vii, 73 p. ; 26cm.
학위논문(석사)–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2016. 8
Tag Archives: 서유구
한국 傳統醱酵食品의 書目에 관한 연구 김치類 및 醬類를 중심으로
윤서연 iii, 151 p. ; 26 cm
학위논문(박사) — 淸州大學校 大學院 文獻情報學科 2019
빙허각 이씨의 고증학적 태도와 유서 저술 – 『청규박물지』「화목부」를 대상으로 –
박영민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no.36, pp. 3-41 (39 pages) 2018
서유구(徐有榘)의 향촌 주거환경 조성에 관한 구상
심명주
한국조경학회지 Vol.50 No.2 127-137(11쪽) 2022
『林園經濟志』와 조선(朝鮮) 양생(養生)의 지향(志向)에 대한 연구(硏究) – 몸-자연-사회의 연계를 중심으로 –
전종욱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35 No.2 77-98(22쪽) 2022
정농(精農)을 위한 농술(農術): 토양, 풍토, 농시를 중심으로 본 서유구의 농업 기술론
오승현
한국과학사학회 Vol.43 No.3 715-759(45쪽) 2021
The Fantasy Garden in East Asian Tradition: A Case Study of a Garden Record in Seo Yugu’s Treatises on Rural Living
Hui Zou , 서명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34 No.1 , 195-222(28쪽), 2021
대구 달성의 입지와 풍수지리 특성에 관한 연구
조호원, 235p. ; 26 cm
학위논문(석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 환경설계학과 2021. 8
인물 중심의 한국음악사 지도 방안 : 풍석 서유구를 중심으로
석가진, vi, 91 p. : 삽화, 초상 ; 26 cm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음악교육전공 2019
고악보「유예지」의 저자인 ‘서유구(1764~1845)’를 주목하였다. 조선 후기 음악의 모습은 악곡의 형성과 변화가 기록되어 있는 고악보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그가 남긴「유예지」는 조선후기 19세기 초 가곡, 영산회상 등의 정악의 발전 양상과 계면조의 변화 과정, 그 당시 풍류방에서 연주되었던 악기와 악곡의 모습을 담고 있어 조선 후기의 음악사에서도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한국음악사의 조선 후기의 음악의 모습을 담고 있는「유예지」의 저자 서유구를 중심으로 하여 조선 후기의 시대적 배경과 음악관을 연구하였으며, 이를 인물 학습 수업 모형에 적용하여 수업의 실제로 제시하였다.
해거재 홍현주의 생애와 회화 연구
김진웅, 144 p. ; 26cm.
학위논문(석사)–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2020. 8
서유구의 음악관 형성의 배경과 실천적 음악활동 연구
서유구의 음악관 형성의 배경과 실천적 음악활동 연구
조선후기 풍수 노반척 적용 조영계획 – 연경당, 낙선재, 운현궁, 선병국 가옥을 중심으로
강옥희 xiii, 176 p. ; 30 cm
학위논문 석사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건축계획, 2007.8
조선후기 실학자의 의학문헌 연구
박상영 ii, 172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2016.8. 지도교수: 정우봉
조선후기 문인의 서화인식과 비평의식 연구 : 서유구·성해응·남공철을 중심으로
진리바 iv, 228 p. ; 30 cm
학위논문 박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유학과 동양미학전공, 2016.
조선시대 추나의학사 연구
임진강 29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의사학(한의역사학), 2008.2
조선 후기 한양의 원림에 관한 연구 : 경화사족의 원림기와 원림도를 중심으로
정봉구 v, 112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축환경공학, 2009
임원경제지의 생기 관점에서 본 양동마을 주거 연구
박동필 110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 2002.2
임원경제지에 나타난 전통식물의 재해석
박경자 56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세명대학교 대학원 : 의약생명과학과 2016. 2
임원경제지 정조지의 음청류 연구
권정순 iii, v, 268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원광대학교 대학원, 한국문화학과, 2018.2. 지도교수: 정순일
서유구의 임원경제지 보양지에 나타난 양생론 연구
김흥룡 iii, ii, 237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원광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 기학전공, 2017
귤산 이유원의 다사 연구 – 「임하필기」와 「가오고략」을 중심으로
이윤경 v, 125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화산업학과 예절다도학전공, 2012.2. 지도교수: 주영애
풍석 서유구에 대한 한 연구: ‘임원경제’와 『번계시고』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조창록, 163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국한문학, 2003
서유구의 서화감상학 연구 – 『화전』과 『예완감상』을 중심으로
김효진 iv, 76 p. ; 26 cm
학위논문 석사-조선대학교 대학원, 미학-미술사학, 2006.2
서유구의 복식관 : 「섬용지」 ‘복식지구’의 분석을 중심으로
차서연, vii, 161 p. ; 30 cm
학위논문 석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통의상학, 2011
서유구의 『완영일록』과 검안처리 업무
이혜령 45, [21]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전주대학교 대학원, 사학, 2011.2.
서유구의 『모시강의』 연구와 역주
소잠 iv, 856 p. ; 30 cm
학위논문 박사-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문고전번역협동과정, 2014 지도교수: 진재교
서유구(1764∼1845)의 선진 농법 제도화를 통한 국부 창출론 : 『의상경계책』의 해제 및 역주
정명현 vii, 435 p. ; 26 cm
학위논문(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과학사및과학철학전공, 2014
서명응 일가의 박학과 총서ㆍ유서 편찬에 관한 연구
한민섭 144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2010
서명응 삼대의 공구서 편찬에 관한 연구
김희영 viii, 68 p. ; 26 cm
학위논문 석사-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 2009
서유구의 학문과 농업정책론
저자 유봉학
1985년 규장각 학술기사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