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지」 제5장 ‘음청지류(飮淸之類)’에서는 탕(湯) 18종 19가지, 장(漿) 7종 10가지, 차(茶) 16종 20가지, 갈수(渴水) 6종 6가지, 숙수(熟水) 6종 6가지 등 모두 53종 61가지의 음청류가 등장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조리서가 많지 않은 가운데 「정조지」는 조선시대 조리서로는 가장 많은 음청류가 수록되어 있는 문헌으로 오늘날 마실거리를 통칭하고 있는 ‘음청류’라는 용어도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Tag Archives: 정조지
임원경제지 정조지의 음청류 연구
권정순 iii, v, 268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원광대학교 대학원, 한국문화학과, 2018.2. 지도교수: 정순일
조선후기 식기 및 음식의 특색과 변화
이은옥, v, 180p. : 삽도 ; 26cm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2003. 2
임원경제지 정조지의 음청류 연구
권정순 p271 ; 26 cm
지도교수: 정순일
학위논문(박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 한국문화학과 2018.2
《정조지》-육포-복원-보고회
곽미경
2017 풍석학술대회
어루쇠04 정조지 임원경제지
SandKpro 게시일: 2016. 9. 2.
미처 알지 못했던 경기도 역사의 숨은 이야기
조선 셰프 서유구
저자 곽미경|역자 임원경제연구소|씨앗을뿌리는사람 |2017.09.20
페이지 335|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56374420|판형 규격외 변형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