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넷윤선리
동서인문학 vol., no.62, pp. 153-191 (39 pages) 2022
Category Archives: 학술지논문
빙허각 이씨의 고증학적 태도와 유서 저술 – 『청규박물지』「화목부」를 대상으로 –
박영민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no.36, pp. 3-41 (39 pages) 2018
조선시대 고증적 박물학자, 빙허각 이씨(憑虛閣李氏)
김수연
이화어문논집, vol., no.44, pp. 261-270 (10 pages) 2018
규합총서(閨閤叢書)의 십미요(十味謠) 이미지 연구
방기정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vol.8, no.7, 통권 45호 pp. 719-728 (10 pages), 2018
전통색명의 한글화에 관한 연구 -규합총서의 오정색, 십간색 색채어를 중심으로-
정성환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5, no.3, 통권 43호 pp. 171-184 (14 pages)
규합총서와 성호사설의 전통색 색명 비교연구 – 상극간색과 상생간색을 중심으로 –
정성환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5, no.2, 통권 42호 pp. 261-272 (12 pages) 2017
19세기 『규합총서』의 탄생과 가정 살림의 지식화
정해은
지역과 역사 Vol.- No.45 185-217(33쪽) [2019]
고(古)조리서로 본 여성의 살림정신 – 『음식디미방』과 『규합총서(閨閤叢書)』를 중심으로 –
이난수
효학연구 vol., no.25, pp. 25-56 (32 pages) 2017
부뚜막 신에 대한 재고 『규합총서』를 통해 본 조선 지식인의 조왕 인식
자넷윤선리
한국학논집 vol., no.79, pp. 61-92 (32 pages) 2020
조선 후기 여성 문집의 유가경전 인용 방식에 대한 여성철학적 고찰 = 이사주당의 『태교신기(胎敎新記)』와 이빙허각의 『규합총서(閨閤叢書)』를 중심으로
김세서리아
한국여성철학 Vol.30 No._ 39-124(32쪽) 2018
근대 요리책의 계통과 지식 전승 -출판인쇄본 부인필지, 조선요리제법,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을 중심으로-
라연재
민속학연구 Vol.0 No.42 47-73(27쪽) 2018
조선시대(朝鮮時代) 주요 조리서(調理書)와 『동의보감(東醫寶鑑)』의 약주(藥酒)에 대한 비교 고찰
백유상, 안진희, 김종현, 김도훈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34 No.2 169-206(38쪽) 2021
서유구(徐有榘)의 향촌 주거환경 조성에 관한 구상
심명주
한국조경학회지 Vol.50 No.2 127-137(11쪽) 2022
『林園經濟志』와 조선(朝鮮) 양생(養生)의 지향(志向)에 대한 연구(硏究) – 몸-자연-사회의 연계를 중심으로 –
전종욱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35 No.2 77-98(22쪽) 2022
『林園經濟志』 어류지식의 한의학적 고찰 – 『東醫寶鑑』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전종욱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35 No.3 71-90(20쪽) 2022
19세기 조선 의약 생활의 풍경과 ‘약로’_ 신대우 가계 기록물과 서유구 이규경의 저술을 중심으로
전종욱
한국의사획회지 Vol.35 No.1 135-147(13쪽) 2022
조선 후기 읍성의 인구 구성과 상업 집적 특성
김승정, 박인권
도시사학회 도시연구(역사·사회·문화) Vol._ No.30 121-163(33쪽) 2022
전통의료 용어변천 연구 – 俗方에서 민간요법으로 –
김영완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논총 Vol.58 No. 173-197(25쪽) 2022
「정조지」와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의 식문화적 연관성 및 조리법 비교
유미영 정희선
국립민속박물관 민속학연구 Vol.- No.49 249-312(64쪽) 2021
『이운지(怡雲志)』 「절신상락(節辰賞樂)」에 관한 소고(小考)
심명주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한국문화연구 Vol.41 No._ 39-69(31쪽) 2021
『임원경제지』와 『규합총서』에 나타난 병이(餠餌)류에 대한 고찰
탁준영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한국예다학 Vol.10 No.- 7-42(36쪽) 2021
고문헌을 통해 본 조선시대 자석연(紫石硯)의 산지와 종류에 관한 고찰
최병규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대동문화연구 Vol.114 No.- 319-353(35쪽) 2021
고전 국역과 저작권 문제 ― 임원경제지 판결을 중심으로 ―
남형두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법학연구 Vol.31 No.3 211-264(54쪽) 2021
임원경제지 예규지의 경제사상과 경제정보 – 상업론을 종심으로
이헌창
경제사학회 Vol.45 No.3 375-443(69쪽) 2021
고문헌 기반 한국 전통죽의 영양학적 가치 재평가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를 중심으로-
김순연, 김송희, 김애정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9 163-172(11쪽) 2021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 기록된 차(茶) 고찰 -순차 및 차혼성차를 중심으로-
최배영
국제차문화학회 차문화ㆍ산업학 Vol.51 No.- 135-158(24쪽) [2021]
침법(枕法)에 관한 문헌기록과 대전시립박물관소장 향침(香枕)의 제작기법
하수민,
민속학연구 Vol.- No.49 313-341(29쪽) 2021
정농(精農)을 위한 농술(農術): 토양, 풍토, 농시를 중심으로 본 서유구의 농업 기술론
오승현
한국과학사학회 Vol.43 No.3 715-759(45쪽) 2021
The Fantasy Garden in East Asian Tradition: A Case Study of a Garden Record in Seo Yugu’s Treatises on Rural Living
Hui Zou , 서명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34 No.1 , 195-222(28쪽), 2021
『림원경제지』에서의 지식 담론의 발전
이헌창
한국실학학회 Vol.0 No.39 304-399(96쪽) 2020
『임원경제지』는 가정 관리의 이용후생학을 가장 수준 높게 집대성하였다. 그것은 문호개방 이전 동아시아 학술 분화의 마지막 단계를 이루었고, 중국․조선 학술의 精髓를 담았다. 그것은 백과사전의 지식 정보를 담은 학술연구서이자 학술교과서였다. 서유구는 『임원경제지』에서 개방적 자세, 문헌고증, 실험과 관찰 등 동아시아 전통에서 최고의 학문 방법론을 구사하여 근대적 방법론에 접속될 수 있었다. 그는 공자의 합리적 정신을 고양하여 근대적 인간관․사유원리․생활방식에 접근하는 모범을 제시하였다. 倪圭志를 집중 고찰하는데, 예규지를 관통하는 사유는 도덕과 공리의 조화적 추구, 그리고 경제합리성에 입각한 적극적 이익추구관과 상업중시관이었다. 『임원경제지』는 기술을 중시한 농․공․상업의 육성론을 모두 진전시킨 산업사의 중요한 업적이다. 서유구가 『임원경제지』에서 담은 동아시아 전통에서 최적화된 가정생활과 문화론은 근대에도 통할 수 있다. 그것은 ‘淸福’(wellbeing)을 추구한 이용후생학을 집대성하여 근대적 문화인의 삶을 지향하였다. 程朱學의 道學은 도덕 담론의 정점을 이루었다면, 근세 실학은 지식 담론의 발전을 도모하였고, 그 정점이 『임원경제지』였다.
근세 동아시아의 어류지식과 해양어업: ‘어보(魚譜)’에서 ‘어서(漁書)’로
김문기
역사와경계 vol., no.114, pp. 87-158 (72 pages) 2022
서유구(徐有榘)의 『전어지(佃漁志)』는 어류지식으로써 ‘어보(魚譜)’와 어구어법으로써 ‘어서(漁書)’의 성격이 혼재한다. 또한 조선뿐만, 중국과 일본의 어류・어로지식도 종합했다. 이런 특성은 중국과 일본에서 볼 수 없는 것으로, 『전어지』는 새롭게 조명될 필요가 있다.
서유구의 학문세계와 학문자세, 그리고 실사구시-『임원경제지』 「본리지」를 중심으로-
정수환
한국사학사학보 제41호 41-74(34쪽) 2020
서유구의 저술 중 『임원경제지』의 「본리지」를 대상으로 그의 세계관이 투영된 학문세계를 實事求是에 입각한 학문자세로 설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는 농학에 대한 가학을 전승한 학문 경향과 유서(類書) 집필자로서 서유구의 학문관과 세계관에대한 분석성과와 다른 시도이다.
‘실사구시’에 입각한 서유구의 학문자세는 ‘실사’와 ‘구시’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논거는 『임원경제지』 예언(例言)에서 추출했다. ‘실사’는 곧‘인서(引書)’로서, 서유구는 문헌의 인용에 철저하여 전거를 밝히는 행위를강조했다. 그리고 ‘구시’는 그가 사환하거나 향거(鄕居)하는 과정에서 관찰하고 실험한 내용에서 획득한 지식을 암시한다고 분석했다.
서유구의 학문과 농업정책론
저자 유봉학
1985년 규장각 학술기사
朝鮮後期 開城知識人의 동향과 北學思想 수용 : 崔漢綺와 金澤榮을 중심으로
저자 유봉학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1994년 규장각 85-98(14쪽)
조선후기 개성지식인의 동향과 북학사상
西序書目籖錄 解題
저자 남권희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1989 규장각
『임원경제지』사본들에 대한 서지학적 검토
저자 정명현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9년, 규장각
『임원경제지』,『임원십육지』,서유구,서지학
논문 : 특집 ; 조선후기 달성서씨가의 학풍과 실학 : 풍석 서유구의 「의상경계책(擬上經界策)」에 대한 일 고찰 -그의 문예론과 치재관(治財觀)의 한 면모-
조창록
한국실학연구 Vol.11 No.- [2006] 161-182(22쪽)
특집 : 실학,일상,문화 -실학은 인간의 삶에 어떻게 다가섰는가 ; 실학과 술
허시명 한국실학연구 Vol.12 No.- [2006] 121-146(26쪽) 한국실학학회 http://www.papersearch.net/thesis/article.asp?key=2589464&code=CP00000006
논문:특집; 조선후기 달성서씨가의 학풍과 실학 : 화훼에 대한 서유구의 감수성과 그 의미
김대중
한국실학연구 권호사항 Vol.11 No.- [2006] 7-46(40쪽)
논문:특집; 조선후기 달성서씨가의 학풍과 실학 :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를 통해 본 서유구의 이용후생학(利用厚生學)
안대회
한국실학연구 Vol.11 No.- [2006] 47-72(26쪽)
서유구가 편찬한 할아버지의 저술
김문식
문헌과 해석 Vol.34 No.- [2005] 116-129(14쪽)
자료 소개 : 일본 대판(大阪) 중지도도서관본(中之島圖書館本)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의 인(引)과 예언(例言)
조창록 한국실학연구 Vol.10 No.- [2005] 353-387(35쪽) 한국실학학회
풍석(楓石) 서유구(徐有榘)의 삶과 행적
조창록
문헌과 해석 Vol.34 No.- [2005] 105-115(11쪽)
「루판고」 수록 도서의 질적 수준에 관한 연구
리상용
서지학연구 Vol.31 No.- [2005] 231-262(32쪽)
전통사회의 질병에 대한 여성과 남성의 인식과 대응
원보영
실천민속학연구 Vol.7 No.- [2005] 167-200(34쪽)
『풍석고협집』을 통해 본 18세기 후반 문학비평 연구(2) – 기교논적 비평
강민구
동방한문학 Vol.29 No.- [2005] 295-322(28쪽)
자연의 경을 담은 자연경실과 서유구
이종묵
문헌과 해석 Vol.34 No.- [2005] 130-152(23쪽)
풍석 서유구의 산문에 대하여
한민섭
동양한문학연구 Vol.20 2004 265-301(37쪽)
남한강변 장시에 유통된 품목 고 -서유구의 <임원십육지>를 중심으로
김필래
한국의 민속과 문화 Vol.9 No.- [2004] 305-321(17쪽)
풍석 서유구와 “임원경제”
조창록
한문학보 Vol.8 No.- [2003] 201-225(25쪽)
21세기에 다시 읽는 실학 ; 서유구의 진휼정책 -『완영일록』,『화영일록』을 중심으로
손병규
大東文化硏究(Journal of Eastern studies ) Vol.42 No.- [2003] 93-116(24쪽)
조선후기 서화 감식론의 여러 양상
천기철
한자 한문교육 권호사항 Vol.10 No.- [2003] 289-313(25쪽)
그리고 이런 책들이 조선후기의 작품 감상과 감식에 어떻게 이용되었는지에 대하여 남공철과 서유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들은 작품의 심미적 속성뿐만 아니라 지질, 인장, 먹, 제작법상의 문제 등 구체적인 테크닉의 문제들에까지 언급하고 있었다.
풍석 서유구와 『 번계시고 』 – 자료 소개를 겸하여
조창록
한국한문학연구 권호사항 Vol.28 No.- [2001] 289-313(25쪽)
한국한문학회
풍석 서유구의 산문론
강명관
동아시아 문화연구(Journal of East Asian cultures) Vol.34 No.- [2000] 155-173(19쪽)
서유구와 서화감상학과 『 임원경제지 』
박은순
동아시아 문화연구(Journal of East Asian cultures) 권호사항 Vol.34 No.- [2000] 209-239(31쪽)
풍석 서유구의 시경학 연구 서설
강민구
반교어문연구 권호사항 Vol.9 No.- [1998] 117-149(33쪽)
서유구(徐有矩)의 『 시경 』 변석(辨釋)에 대한 연구 : 주자 ‘ 시서 배척론(排斥論’ 의 반박을 중심으로
강민구
한국 시가연구 권호사항 Vol.4 No.1 [1998] 343-384(42쪽)
조선조 농서의 서지학적 연구
노기춘 ,송일기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 No.- [1995] 149-152(4쪽)
과학기술의 맥(17)-조선후기 대표적 농학자 서유구
박성래
과학과 기술((The) Science & Technology) Vol.20 No.7 [1987] 25-27(3쪽)
「경외루판」고
박문열
인문과학논집 Vol.4 No.- [1985] 141-175(35쪽)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경외루판」과 「루판고」와의 관계
박문열,Vol.18 No.1 [1985]
청주대학교
한국의 란에 관한 역사적 고찰
이종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1 No.3 [1984] 241-250(10쪽)
발행처 한국정원학회
정조,정약용,서유규의 십삼경 이해
김문식
다산학(Journal of TASAN Studies) 권호사항 Vol.- No.16 [2010] 23-58(36쪽)
발행처 다산학술문화재단(Tasan Cultural Foundation)
임원경제지를 통해 본 서유구의 일본 인식 -화한삼재도회를 인용한 사례를 중심으로
조창록
대동문화연구(Journal of Eastern studies ) 권호사항 Vol.78 No.- [2012] 수록면 103-129(27쪽)발행처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예규지(倪圭志)」의 가정 경제학
김대중 ( Dae Joong Kim )\
학술지명 : 韓國漢文學硏究 권호사항 Vol.51 No.- [2013] 수록면 363-415(53쪽)
서유구와 서화감상학과 『林園經濟志』 = Suh Yoo-ku’s Theory on Painting in the Early 19th Century
저자 박은순
학술지명 동아시아 문화연구(Journal of East Asian cultures)
발행처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209-239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0년
KDC 911.05
등재정보 KCI등재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