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현 viii, 245 p. ; 30 cm
학위논문(박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2016
Category Archives: 참고자료
화채류의 종류 및 조리법에 관한 문헌적 고찰 140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의 조리서를 중심으로
양지혜 vii, 73 p. ; 26cm.
학위논문(석사)–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2016. 8
『閨閤叢書』의 編纂과 筆寫樣相에 관한 考察
김영혜 vii, 104 p. : 삽화 ; 30 cm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2016.2
조선시대 고조리서에 나타난 어류 조리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추영미 vii, 87 L. ; 26 cm
학위논문 (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 전통예술학과 전통식생활문화전공 2018.8
한국 傳統醱酵食品의 書目에 관한 연구 김치類 및 醬類를 중심으로
윤서연 iii, 151 p. ; 26 cm
학위논문(박사) — 淸州大學校 大學院 文獻情報學科 2019
The Intertextual Aspect of Women’s Culinary Manuscripts in Chosŏn Korea
자넷윤선리
동서인문학 vol., no.62, pp. 153-191 (39 pages) 2022
빙허각 이씨의 고증학적 태도와 유서 저술 – 『청규박물지』「화목부」를 대상으로 –
박영민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no.36, pp. 3-41 (39 pages) 2018
조선시대 고증적 박물학자, 빙허각 이씨(憑虛閣李氏)
김수연
이화어문논집, vol., no.44, pp. 261-270 (10 pages) 2018
규합총서(閨閤叢書)의 십미요(十味謠) 이미지 연구
방기정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vol.8, no.7, 통권 45호 pp. 719-728 (10 pages), 2018
전통색명의 한글화에 관한 연구 -규합총서의 오정색, 십간색 색채어를 중심으로-
정성환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5, no.3, 통권 43호 pp. 171-184 (14 pages)
규합총서와 성호사설의 전통색 색명 비교연구 – 상극간색과 상생간색을 중심으로 –
정성환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5, no.2, 통권 42호 pp. 261-272 (12 pages) 2017
19세기 『규합총서』의 탄생과 가정 살림의 지식화
정해은
지역과 역사 Vol.- No.45 185-217(33쪽) [2019]
고(古)조리서로 본 여성의 살림정신 – 『음식디미방』과 『규합총서(閨閤叢書)』를 중심으로 –
이난수
효학연구 vol., no.25, pp. 25-56 (32 pages) 2017
부뚜막 신에 대한 재고 『규합총서』를 통해 본 조선 지식인의 조왕 인식
자넷윤선리
한국학논집 vol., no.79, pp. 61-92 (32 pages) 2020
조선 후기 여성 문집의 유가경전 인용 방식에 대한 여성철학적 고찰 = 이사주당의 『태교신기(胎敎新記)』와 이빙허각의 『규합총서(閨閤叢書)』를 중심으로
김세서리아
한국여성철학 Vol.30 No._ 39-124(32쪽) 2018
근대 요리책의 계통과 지식 전승 -출판인쇄본 부인필지, 조선요리제법,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을 중심으로-
라연재
민속학연구 Vol.0 No.42 47-73(27쪽) 2018
조선시대(朝鮮時代) 주요 조리서(調理書)와 『동의보감(東醫寶鑑)』의 약주(藥酒)에 대한 비교 고찰
백유상, 안진희, 김종현, 김도훈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34 No.2 169-206(38쪽) 2021
서유구(徐有榘)의 향촌 주거환경 조성에 관한 구상
심명주
한국조경학회지 Vol.50 No.2 127-137(11쪽) 2022
『林園經濟志』와 조선(朝鮮) 양생(養生)의 지향(志向)에 대한 연구(硏究) – 몸-자연-사회의 연계를 중심으로 –
전종욱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35 No.2 77-98(22쪽) 2022
『林園經濟志』 어류지식의 한의학적 고찰 – 『東醫寶鑑』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전종욱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35 No.3 71-90(20쪽) 2022
19세기 조선 의약 생활의 풍경과 ‘약로’_ 신대우 가계 기록물과 서유구 이규경의 저술을 중심으로
전종욱
한국의사획회지 Vol.35 No.1 135-147(13쪽) 2022
조선 후기 읍성의 인구 구성과 상업 집적 특성
김승정, 박인권
도시사학회 도시연구(역사·사회·문화) Vol._ No.30 121-163(33쪽) 2022
전통의료 용어변천 연구 – 俗方에서 민간요법으로 –
김영완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논총 Vol.58 No. 173-197(25쪽) 2022
「정조지」와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의 식문화적 연관성 및 조리법 비교
유미영 정희선
국립민속박물관 민속학연구 Vol.- No.49 249-312(64쪽) 2021
『이운지(怡雲志)』 「절신상락(節辰賞樂)」에 관한 소고(小考)
심명주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한국문화연구 Vol.41 No._ 39-69(31쪽) 2021
『임원경제지』와 『규합총서』에 나타난 병이(餠餌)류에 대한 고찰
탁준영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한국예다학 Vol.10 No.- 7-42(36쪽) 2021
고문헌을 통해 본 조선시대 자석연(紫石硯)의 산지와 종류에 관한 고찰
최병규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대동문화연구 Vol.114 No.- 319-353(35쪽) 2021
고전 국역과 저작권 문제 ― 임원경제지 판결을 중심으로 ―
남형두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법학연구 Vol.31 No.3 211-264(54쪽) 2021
임원경제지 예규지의 경제사상과 경제정보 – 상업론을 종심으로
이헌창
경제사학회 Vol.45 No.3 375-443(69쪽) 2021
고문헌 기반 한국 전통죽의 영양학적 가치 재평가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를 중심으로-
김순연, 김송희, 김애정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9 163-172(11쪽) 2021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 기록된 차(茶) 고찰 -순차 및 차혼성차를 중심으로-
최배영
국제차문화학회 차문화ㆍ산업학 Vol.51 No.- 135-158(24쪽) [2021]
침법(枕法)에 관한 문헌기록과 대전시립박물관소장 향침(香枕)의 제작기법
하수민,
민속학연구 Vol.- No.49 313-341(29쪽) 2021
정농(精農)을 위한 농술(農術): 토양, 풍토, 농시를 중심으로 본 서유구의 농업 기술론
오승현
한국과학사학회 Vol.43 No.3 715-759(45쪽) 2021
The Fantasy Garden in East Asian Tradition: A Case Study of a Garden Record in Seo Yugu’s Treatises on Rural Living
Hui Zou , 서명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34 No.1 , 195-222(28쪽), 2021
대구 달성의 입지와 풍수지리 특성에 관한 연구
조호원, 235p. ; 26 cm
학위논문(석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 환경설계학과 2021. 8
「정조지」와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의 식문화적 가치 연구
유미영, 91 ; 26 cm
학위논문(석사)–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 전통예술학과 전통식생활문화전공 2021. 8
『林園經濟志』「怡雲志」의 茶供에 대한 硏究
조주연, p145 ; 26 cm
학위논문(석사)–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 예문화와다도학과 2022. 2
풍수지리 인증제도를 위한 풍수지표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 양택 중심으로
임선화, vii, 177 p. : 삽화 ; 26 cm
학위논문(석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 환경설계학과 2019.8
한국 전통 목조건축물의 명유 기법 적용성 연구
김은경, vii, 76 p : 삽화, 표 ; 26 cm
학위논문(석사)– 건국대학교 대학원 : 회화학과 회화보존전공 2019. 2
한국 전통음식의 과정류 활용 방안 연구-임원경제지 정조지의 과정류를 중심으로
박춘연, p286 ; 26 cm
학위논문(박사)– 원광대학교 대학원 한국문화학과 : 한국문화학과 2022. 2
임원경제지 정조지를 기반한 건강기능성 죽 개발
김순연, x, 149 p. : 삽도 ; 26 cm
학위논문(박사)– 경기대학교 대학원 : 대체의학과 2022. 2
동아시아 붓의 제작 기법 변화와 전승양상
박창선, xvi, 340 p. : 삽화 ; 26 cm
학위논문(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문화유산학협동과정 2021. 8
한국전통 장(醬) 제조기술 변천에 관한 문헌적 고찰
김용문, x, 154 장. : 삽화 ; 26 cm
학위논문(박사)–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식품공학과 2021. 8
『림원경제지』에서의 지식 담론의 발전
이헌창
한국실학학회 Vol.0 No.39 304-399(96쪽) 2020
『임원경제지』는 가정 관리의 이용후생학을 가장 수준 높게 집대성하였다. 그것은 문호개방 이전 동아시아 학술 분화의 마지막 단계를 이루었고, 중국․조선 학술의 精髓를 담았다. 그것은 백과사전의 지식 정보를 담은 학술연구서이자 학술교과서였다. 서유구는 『임원경제지』에서 개방적 자세, 문헌고증, 실험과 관찰 등 동아시아 전통에서 최고의 학문 방법론을 구사하여 근대적 방법론에 접속될 수 있었다. 그는 공자의 합리적 정신을 고양하여 근대적 인간관․사유원리․생활방식에 접근하는 모범을 제시하였다. 倪圭志를 집중 고찰하는데, 예규지를 관통하는 사유는 도덕과 공리의 조화적 추구, 그리고 경제합리성에 입각한 적극적 이익추구관과 상업중시관이었다. 『임원경제지』는 기술을 중시한 농․공․상업의 육성론을 모두 진전시킨 산업사의 중요한 업적이다. 서유구가 『임원경제지』에서 담은 동아시아 전통에서 최적화된 가정생활과 문화론은 근대에도 통할 수 있다. 그것은 ‘淸福’(wellbeing)을 추구한 이용후생학을 집대성하여 근대적 문화인의 삶을 지향하였다. 程朱學의 道學은 도덕 담론의 정점을 이루었다면, 근세 실학은 지식 담론의 발전을 도모하였고, 그 정점이 『임원경제지』였다.
근세 동아시아의 어류지식과 해양어업: ‘어보(魚譜)’에서 ‘어서(漁書)’로
김문기
역사와경계 vol., no.114, pp. 87-158 (72 pages) 2022
서유구(徐有榘)의 『전어지(佃漁志)』는 어류지식으로써 ‘어보(魚譜)’와 어구어법으로써 ‘어서(漁書)’의 성격이 혼재한다. 또한 조선뿐만, 중국과 일본의 어류・어로지식도 종합했다. 이런 특성은 중국과 일본에서 볼 수 없는 것으로, 『전어지』는 새롭게 조명될 필요가 있다.
서유구의 학문세계와 학문자세, 그리고 실사구시-『임원경제지』 「본리지」를 중심으로-
정수환
한국사학사학보 제41호 41-74(34쪽) 2020
서유구의 저술 중 『임원경제지』의 「본리지」를 대상으로 그의 세계관이 투영된 학문세계를 實事求是에 입각한 학문자세로 설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는 농학에 대한 가학을 전승한 학문 경향과 유서(類書) 집필자로서 서유구의 학문관과 세계관에대한 분석성과와 다른 시도이다.
‘실사구시’에 입각한 서유구의 학문자세는 ‘실사’와 ‘구시’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논거는 『임원경제지』 예언(例言)에서 추출했다. ‘실사’는 곧‘인서(引書)’로서, 서유구는 문헌의 인용에 철저하여 전거를 밝히는 행위를강조했다. 그리고 ‘구시’는 그가 사환하거나 향거(鄕居)하는 과정에서 관찰하고 실험한 내용에서 획득한 지식을 암시한다고 분석했다.
도애 홍석모 문학 연구
이관성, x, 210 p. ; 26 cm
학위논문(박사) — 원광대학교 대학원 한문고전학과 2017
그는 이계의 당색을 이어받아 소론계에 속하여 조선후기 소론계의 시단에서 활약하였다. 서유구의 문하에 드나들었으며 일군의 소론 인사로 구성된 賞心契와 菊社라는 詩社를 주도하였다. 그는 『도애시집』 21책과 『도애시문선 8책, 『간관록』, 『游燕藁』 등의 저서를 남겼다.
서유구의 『림원경제지』 「보양지」에 나타난 양생론 연구
서유구는 「보양지」에서 양생론을 펼치면서, 도교의 다양한 도인과 안마를 소개하고 있다. 서유구는 선비가 관직에서 물러나 향촌에서 생활할 경우나 궁벽하고 깊은 산골에 사는 일반 백성들의 질병 치료와 또는 예방의학으로서 양생술에 초점을 맞추어 「보양지」를 지었다.
…서유구의 「보양지」 찬술 의도에는 일반 백성들을 긍휼히 여기는 애민 사상이 전제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임원경제지』「정조지」의 음청류 연구
「정조지」 제5장 ‘음청지류(飮淸之類)’에서는 탕(湯) 18종 19가지, 장(漿) 7종 10가지, 차(茶) 16종 20가지, 갈수(渴水) 6종 6가지, 숙수(熟水) 6종 6가지 등 모두 53종 61가지의 음청류가 등장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조리서가 많지 않은 가운데 「정조지」는 조선시대 조리서로는 가장 많은 음청류가 수록되어 있는 문헌으로 오늘날 마실거리를 통칭하고 있는 ‘음청류’라는 용어도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조선시대 검은색의 염색법 재현 : 임원경제지의 포두청색·청조색·현색을 중심으로
박창선 xiii, 161 p. : 천연색삽화, 도표 ; 30 cm
학위논문 박사- 인천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2018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서유구(1764-1845)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전공지(展功志) 연염(湅染)에서 포두청색(包頭靑色), 청조색(靑皁色), 현색(玄色)의 기록을 토대로 검은색 염색법과 색상을 재현하였다.
옥파 신필영의 「렬상기행절구」 연구
표가령, ii, 180 p. : 도표 ; 26 cm
학위논문(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국문학전공 2018. 2
신필영이 교유했던 서유구(徐有榘)ㆍ홍석주(洪奭周)ㆍ홍길주(洪吉周)ㆍ정학연(丁學淵)ㆍ윤정현(尹定鉉)ㆍ김영작(金永爵)ㆍ박규수(朴珪壽)ㆍ홍우길(洪祐吉)ㆍ홍우건(洪祐健)ㆍ김상현(金尙鉉) 등은 대체로 18세기의 실학적 학풍을 계승하면서 문학적으로 서로 친밀하게 교유했던 진보적 성향의 지식인들이었다.
「열상기행절구」는 신필영이 1846년 8월(음력)에 한강의 동호(東湖)와 남한강(南漢江) 일대를 여행하면서 지은 7언 절구 100수의 연작 기행시이다. 신필영은 평소 국내 여행을 즐겨 다니면서 다양한 기행시를 남겼다. 그중 특히 「열상기행절구」는 그의 시세계의 특징을 총체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일 뿐만 아니라, 동시에 회고시(懷古詩), 산수경물시(山水景物詩), 회인시(懷人詩), 만시(輓詩), 도망시(悼亡詩), 기속시(紀俗詩), 농촌시(農村詩) 등 다채로운 양식의 시들을 집대성하고 있는 작품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양식별 특징에 의거하여 작품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신필영은 회고시와 산수경물시를 통해, 유하정(流霞亭), 남한산성(南漢山城), 춘초정(春草亭), 둔촌서원(遁村書院) 등 한강변 역사ㆍ문화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가 하면, 전고(典故)와 회화적 기법를 활용하여 팔당(巴堂), 남자주(藍子洲), 두릉(斗陵), 용문산(龍門山) 등지의 정경미(情景美)를 묘사해내었다.
다음으로 그는 회인시와 도망시를 통해, 작고한 홍길주, 김매순, 서유구, 신익성(申翊聖), 자신의 처 연일(延日) 정씨(鄭氏) 등 부재(不在)한 인물들을 추모하였다. 비창(悲愴)한 심정을 곳곳에서 토로하여 작품의 서정성을 강화하였으며, 성묘(省墓) 여정을 추가함으로써 한강 유람을 위주로 한 이 시의 내용을 좀 더 다채롭게 만들었다.
17·18세기 결부제의 폐단과 숙종조 황해도 방전법 시도
김동일, iv, 95 p. : 삽화 ; 26 cm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2019.2
비록 방전법은 황해도 3개 읍에서 시험 시행되었을 뿐, 확대 시행되지 못하였으나, 봉건 해체기에 접어든 집권적 봉건 국가의 잔존한 봉건적인 지배를 일소하며 正經界·均賦均稅를 지향했던 개혁정책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경자양전의 타량 방식에도 영향을 미쳐, 보다 정확하게 토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방전법은 좌절 이후에도 탁월한 양전 방식으로 조정에서 거론되었고, 19세기 정약용·서유구·김윤식·유치범·유진억·이기 등의 방전론으로 이어져 광무양전 논의에 이르렀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인물 중심의 한국음악사 지도 방안 : 풍석 서유구를 중심으로
석가진, vi, 91 p. : 삽화, 초상 ; 26 cm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음악교육전공 2019
고악보「유예지」의 저자인 ‘서유구(1764~1845)’를 주목하였다. 조선 후기 음악의 모습은 악곡의 형성과 변화가 기록되어 있는 고악보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그가 남긴「유예지」는 조선후기 19세기 초 가곡, 영산회상 등의 정악의 발전 양상과 계면조의 변화 과정, 그 당시 풍류방에서 연주되었던 악기와 악곡의 모습을 담고 있어 조선 후기의 음악사에서도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한국음악사의 조선 후기의 음악의 모습을 담고 있는「유예지」의 저자 서유구를 중심으로 하여 조선 후기의 시대적 배경과 음악관을 연구하였으며, 이를 인물 학습 수업 모형에 적용하여 수업의 실제로 제시하였다.
서유구의 『임원경제지』에 나타난 건축 기술 연구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관료인 서유구가 편찬한 『임원경제지』를 대상으로 하여 그 속에 담긴 건축 기술의 내용과 그 기술이 형성될 수 있었던 배경을 분석하고, 이를 위해 저자가 어떻게 기술지식을 인식하고 습득하였으며, 그 지식이 무엇을 위해, 그리고 어떻게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해거재 홍현주의 생애와 회화 연구
김진웅, 144 p. ; 26cm.
학위논문(석사)–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2020. 8
동아시아 박물학의 전통에서 본 조선후기 광물학 : 섬용지와 오주서종박물고변의 광물지식을 중심으로
한상원, v, 153 p. ; 26 cm
학위논문(석사) — 부경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2020
서유구의 음악관 형성의 배경과 실천적 음악활동 연구
서유구의 음악관 형성의 배경과 실천적 음악활동 연구
응지진농서 1
저자 농촌진흥청|진한엠앤비 |2014.04.28
페이지 618|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84326330|판형 규격외 변형
토지의 모든 것
저자 문홍열|경남 |2009.04.10
페이지 256|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76755544|판형 A5, 148*210mm
더 편한 세상을 꿈꾼 겨레과학
글 장수하늘소, 김영숙|그림 정재훈|푸른나무 |2007.09.17
페이지 157|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74144616|판형 B5, 188*257mm
열수와 마현
저자 윤종일, 임병규|경인문화사 |2010.03.15
페이지 189|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49907000|판형 B5, 188*257mm
명설과 자설
저자 신용호|전통문화연구회 |2014.02.20
페이지 210|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91720916|판형 규격외 변형
정유각집 [하]
저자 박제가|역자 정민, 이승수, 박수밀|돌베개 |2010.02.22
페이지 700|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71993781|판형 A5, 148*210mm
우리 고전을 찾아서
저자 임형택|한길사 |2007.10.20
페이지 748|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35658527|판형 A5, 148*210mm
저잣거리에서 세상을 배우다
저자 조희정, 주진택, 김대경 외 |우리학교 |2011.03.18
페이지 232|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94103174|판형 A5, 148*210mm
식민지 조선의 근대농법과 재래농법 환경과 기술의 역사인류학
저자 안승택|신구문화사 |2009.08.25
페이지 458|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76681638|판형 A5, 148*210mm
단원 풍속도첩
저자 안대회|민음사 |2005.10.15
페이지 118|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37425516|판형 규격외 변형
우리 인물, 세계와 통하다
저자 KBS역사스페셜 제작팀|가디언 |2011.06.27
페이지 311|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96649311|판형 A5, 148*210mm
책, 조선 사람의 내면을 읽다- 책이 읽은 사람, 사람이 읽은 책 [ 개정판 ]
설흔 저 | 위즈덤하우스 | 2016년 12월 30일
개정판
내면기행
저자 심경호|이가서 |2009.10.01
페이지 612|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58642718
실학파의 산문과 비평 서유구의 청년기 저작에 대한 비평의 실제
저자 강민구|보고사 |2013.08.26
페이지 297|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91155160909|판형 규격외 변형
19세기 20세기초 여성생활사 자료집 (1-9권)
저자 김기림|보고사 |2013.06.28
페이지 534|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91155160299|판형 규격외 변형
구황방 고문헌집성 4
저자 농촌진흥청|휴먼컬처아리랑 |2015.08.30
페이지 220|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91155656778|판형 규격외 변형
응지진농서 2
저자 농촌진흥청|진한엠앤비 |2014.04.28
페이지 618|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84326347|판형 규격외 변형
조선명인전 3
저자 이은직|역자 정홍준|일빛 |2005.08.12
원제 朝鮮名人傳
페이지 422|ISBN ISBN 안내 레이어 보기 9788956450889|판형 A5, 148*210mm
조선시대 지피식물에 관한 연구 – 옛 그림 및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김미옥 x,192p. : 삽도(일부채색) ; 26cm.
학위논문 박사-상명대학교 대학원 : 환경자원학과 환경조경전공 2010.2
화각공예품 개발에 관한 연구 – 시문 문양을 중심으로
김미경 71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대학원, 산업미술학, 1988.8
홍화 염색에 관한 연구
박주연 vi, 51장 : 챠트 ; 22 cm.
학위논문 석사- 신라대학교 대학원 : 의류학과 2011. 8
해외에 조성된 한국정원의 구성요소 연구
황민하 xvi, 202장: 삽도; 26cm.
학위논문 박사-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2014. 8
한국적 특성에 맞는 생태마을의 계획요소 연구
박승남 v, 111 p.; 26 cm.
학위논문 석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건축학과 2011. 8
한국 전통 염료의 과학적 분석연구
최석찬 ⅶ, 76 p. ; 26cm
학위논문 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과학문화(협동) 유물과학 2007. 8
한국 전통 남염색에 관한 연구
조영미 viii, 122p. : 삽도, 도판 ; 27cm.
학위논문 석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정교육전공 1995
한국 유칠(油漆)의 전통기법과 재현연구
박지혜 v, 86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문화재과학과 문화재보존학 전공 2010. 2
풍수지리이론에 의한 전원주택지 선정
한복우 ⅸ, 135장 : 삽도 ; 27 cm
학위논문 석사- 동의대학교 행정대학원, 부동산학, 2007.8
풍수원리와 건강 주거입지 연구
정택동 xii, 189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풍수지리학, 2006.2
친환경 전통미장재료로서 사벽의 실용화를 위한 기초적 물성 평가
료호개 viii, 64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동명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2017.8. 지도교수: 임남기
천연 쪽에 함유된 인디루빈이 견직물 염색에 미치는 영향
유완송 xxvi, 257 p. ; 30 cm
학위논문 박사 – 인천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2017
지형의 변화원리와 현상에 대한 풍수지리학적 연구 – 자연지리학과 풍수지리학의 해석상 유사성을 중심으로
장정환 [326]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 동국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자연지리전공, 2013
조선후기 풍수 노반척 적용 조영계획 – 연경당, 낙선재, 운현궁, 선병국 가옥을 중심으로
강옥희 xiii, 176 p. ; 30 cm
학위논문 석사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건축계획, 2007.8
조선후기 실학자의 의학문헌 연구
박상영 ii, 172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2016.8. 지도교수: 정우봉
조선후기 식기 및 음식의 특색과 변화
이은욱 v, 180p. : 삽도 ; 26cm
학위논문 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 2003.2
조선후기 미불·동기창 서예의 수용에 관한 연구
서승례 ii, 112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대전대학교 대학원, 서예학, 2004.
조선후기 문인의 서화인식과 비평의식 연구 : 서유구·성해응·남공철을 중심으로
진리바 iv, 228 p. ; 30 cm
학위논문 박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유학과 동양미학전공, 2016.
조선후기 농서에 나타난 차의 특성
이강석 vi, 65 p. ; 30 cm
학위논문 석사 –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생활예절ㆍ다도, 2010.
조선조 농서의 서지학적 연구
노기춘 100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 1995
조선시대 후기 백자의 연구
방병선 365 p. ; 26 cm
학위논문 박사-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 1998
조선시대 추나의학사 연구
임진강 29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의사학(한의역사학), 2008.2
조선 후기 한양의 원림에 관한 연구 : 경화사족의 원림기와 원림도를 중심으로
정봉구 v, 112 p. ; 26 cm
학위논문 석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축환경공학, 2009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